광산구 2020년 대비 폭우피해액 32% 줄어…“내년 50% 감소 목표”

2020년 比 피해액 156→106억 원 감소…하천‧하수도 정비 등 예방 대책 수립

박철홍 기자 chelho7442@naver.com
2025년 07월 30일(수) 15:39
광산구, 장마대비 현장 점검
[제일경제신문]광주 광산구는 “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 내린 454.6㎜의 기록적인 폭우에도 불구하고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며 “2020년에 내렸던 집중호우의 교훈이 작동한 결과”라고 30일 밝혔다.

지난 2020년 광주시 전역에 지속적인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8월 7일 하루 만에 211㎜의 비가 내려 이틀간 누적 강수량 398㎜를 기록했다.

광산구는 국지성 폭우와 황룡강 제방 붕괴, 하천 범람 등으로 배수 한계 초과로 도심 곳곳에 물이 잠겨 총 156억 원(공공시설 130억 원/민간시설 26억 원)의 피해액이 나타났다.

올해도 2020년도 못지않게 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 454.6㎜(일평균 55.8㎜)가 내려 106억 원(2025년 7월 29일 21시 기준, 공공시설 75억 원/민간시설 31억 원)의 피해액이 발생했다.

광산구는 집중호우에 대비하고자 5년간 마련했던 선제 대응 방안으로 지난 2020년보다 피해액을 32% 줄였다.
광산구는 지난 5년간 도심을 비롯해 하천, 농촌 등 집중호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천, 농촌 등 다양하게 살폈다.

광산구는 대규모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풍영정천 등 주요 하천 18개소에 하천 바닥의 퇴적물을 걷어내는 등 준설 작업했다. 평동역 등 상습침수지역 10개소에는 하수관로 4.3㎞를 준설하고, 막힘의 주요 원인인 빗물받이 3,655개소를 청소·보수했다.

상습 침수 구역이었던 우산동 일대에도 우산지구 우수저류시설의 저류 용량을 2만 2,000㎡까지 대폭 확충해 침수 피해를 막았다.

또한 디지털트윈 도시침수대응 시스템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하천의 수위를 감시하고, 위험 수위에 도달했을 때 원격으로 배수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주민 관리자 교육, 배수펌프장 가동 훈련 등 실제 상황에 대비했다.
도심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도 정비했다.

광산구는 지난 2020년부터 5년간 농경지 침수 피해를 줄이고 안정적인 영농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농업생산기발시설 정비사업을 추진했다.

농경지의 원활한 물 공급과 배수를 책임지는 용·배수로 14.3㎞를 정비하고, 가뭄과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 저수지 5개소를 보강했다. 산사태 취약지역 47개소를 포함한 81개소에 대해서도 연 2회 정밀 안전 점검과 붕괴 위험이 있는 2개소에 사방사업을 시행했다.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즉시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하고 휴대전화 문자, 마을 방송 등을 통해 대처 요령, 침수 상황 등 시민들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했다. 또한 하천 진출입로 등 145개소 출입을 통제하고, 산사태 등 재난 취약지역에 대한 예찰 활동을 강화했다.

기록적인 폭우로 마을 침수가 불가피한 지역 주민들을 대피시켜 17일 오후부터 학교, 경로당, 숙박시설에 임시 주거시설 17개소를 운영해 113세대 178명을 대피시키고 구호물품을 지원했다.

광산구는 2020년 대비 내년 집중호우 피해액을 50% 감소를 목표로 동곡배수펌프장, 송정 자연재해위험지구 개선 등 집중호우에 대비할 예정이다.

동곡배수펌프장은 집중 호우 및 침수로 인한 파손시설 복구와 고압펌프 스크린 설치, 유수지 협작물 제거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송정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은 오는 2027년까지 배수펌프장 설치 및 우수관망 관거개량 등을 개선할 계획이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지 않도록 행정 역량을 총동원해 조속한 피해 복구에 힘쓰겠다”며 “현장 중심 점검과 대응 역량을 꾸준히 강화해 지속적으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박철홍 기자 chelho7442@naver.com
이 기사는 제일경제신문 홈페이지(www.u-news.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u-news.kr/article.php?aid=13392595100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01일 07: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