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여름철 농작물 가뭄·폭염 피해 최소화 총력 가뭄 해소시까지 상황실 운영…대책반 구성 작물별 맞춤형 대응 박철홍 기자 chelho7442@naver.com |
2025년 07월 10일(목) 16:32 |
![]() |
장성 사과나무 미세술수장치 |
올해 여름철(6월1일~7월4일) 전남지역의 평균기온은 24.4℃로 평년보다 1.6℃ 높았고, 일조시간은 241시간으로 평년보다 61시간 늘어 작물 생육에 불리한 환경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지난 6월 27일부터 폭염특보가 지속 발효 중이며, 가뭄의 장기화 가능성도 커지는 상황이다.
전남 전체 저수율은 10일 현재 58.8%로 평년 수준(62.8%)과 유사한 수준이나, 주요 4대호(나주·담양·광주·장성)의 평균 저수율은 58.4%로 낮아 용수 확보와 장비 가동 등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전남도는 10일부터 가뭄 해소 시까지 ‘농작물 가뭄(폭염)대책 상황실’을 설치·운영하고, 식량원예과장을 총괄로 한 4개 반 14명 규모의 가뭄대책반을 구성해 작물별 맞춤형 대응에 나섰다.
가뭄대책반은 ▲가뭄 예·경보 체계 운영 ▲농업용수 확보, 급수장비 지원 ▲기상청, 농어촌공사 등 유관기관과 협력 강화 ▲작물별 가뭄 관리 기술지도, 홍보 강화 등을 중점 추진한다.
전남도는 각 시군에 자체 상황실을 설치해 대응을 강화할 것을 요청했으며, 재배포장 토양 수분관리, 급수장비 운용, 관정 개발 등을 통해 가뭄피해 최소화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유덕규 전남도 식량원예과장은 “기후변화로 가뭄과 폭염이 반복되는 가운데, 선제적 대응과 유관기관과의 협력이 그 어느때보다 중요하다”며 “농업인이 체감하도록 실질적 지원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박철홍 기자 chelho7442@naver.com